맨위로가기

제4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회 DMZ국제다큐영화제는 다양한 다큐멘터리 영화들을 선보이는 영화제이다. 국제경쟁, 한국경쟁, 청소년경쟁, 특별상 등 여러 부문으로 나누어 수상작을 선정했으며, 국제경쟁 부문에서는 스완 두버스 외 1명의 작품인 '당신에게 내가 없다면'이 흰기러기상을 수상했다. 한국경쟁 부문에서는 고유정, 노은지의 '옥탑방열기'가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을 받았으며, 청소년경쟁 부문에서는 하서영의 '대한민국 1 미만'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영화제는 국제경쟁, 한국경쟁, 청소년경쟁, 닥 얼라이언스, 글로벌 비전, 아시아의 시선, 현장 속의 카메라, 자연다큐멘터리, 다 함께 다큐를!, 아트링크, 폴란드 다큐멘터리 특별전 등 다양한 섹션을 통해 여러 다큐멘터리들을 상영했다.

2. 역대 영화제

2. 1. 제1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2. 제2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3. 제3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4. 제4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5. 제5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6.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7.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8. 제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9. 제9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10. 제10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11. 제11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12. 제12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13. 제13회 DMZ국제다큐영화제

2. 14. 제14회 DMZ국제다큐영화제

3. 수상 부문

3. 1. 국제경쟁

스완 두버스 외 1명이 제작한 당신에게 내가 없다면이 국제경쟁 부문 최우수 작품에 수여되는 흰기러기상을 수상하였다. 심사위원 특별상은 마이클 콜린스의 내일이 온다면에게 돌아갔다.

3. 1. 1. 흰기러기상

국제경쟁 부문 최우수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수상작은 스완 두버스 외 1명이 제작한 당신에게 내가 없다면이다.

3. 1. 2. 심사위원 특별상

내일이 온다면 - 마이클 콜린스

3. 2. 한국경쟁

한국경쟁 부문은 한국 다큐멘터리의 현재를 조명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부문이다. 이 부문에서 최우수 작품에게는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이 수여된다.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 옥탑방열기 - 고유정 수상
  • 옥탑방열기 - 노은지 수상

3. 2. 1.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

한국경쟁 부문 최우수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 옥탑방열기 - 고유정 수상
  • 옥탑방열기 - 노은지 수상

3. 3. 청소년경쟁

대한민국 1 미만 - 하서영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나는 열아홉이고 싶다 - 유민아 외 3명이 청소년경쟁 부문 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유 있는 열광 - 이주리가 특별언급 되었다. 이들 작품은 모두 청소년들의 시각으로 제작된 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3. 3. 1. 최우수상

대한민국 1 미만 - 하서영

3. 3. 2. 우수상

나는 열아홉이고 싶다 - 유민아 외 3명이 청소년경쟁 부문 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3. 3. 3. 특별언급

이유 있는 열광 - 이주리

3. 4. 특별상


  • 반드시 크게 들을 것 2 : WILD DAYS - 백승화 수상

3. 4. 1. 관객상

관객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 반드시 크게 들을 것 2 : WILD DAYS - 백승화 수상

4. 상영작 부문

4. 1. 국제경쟁

국제경쟁 부문은 전 세계의 우수한 다큐멘터리를 소개한다.

  • 펑크 신드롬 - 주카 카크카이넨 외 1명
  • 카불의 권투 소녀들 - 아리엘 J. 나스르
  • 차이나 게이트 - 왕 양
  • 전쟁의 관객들 - 아브너 페인걸런트 외 1명
  • 전장의 여인들 - 카롤리네 그린다케르 외 1명
  • 에어 - 스나이리 히로시
  • 얌보강에 묻은 슬픔 - 페르난다 레스트레포
  • 벨라 비스타 - 알리시아 카노
  • 당신에게 내가 없다면 - 스완 두버스 외 1명
  • 내일이 온다면 - 마이클 콜린스
  • 나는 쿠추다 - 캐서린 페어팩스 라이트 외 1명

4. 2. 한국경쟁

한국 다큐멘터리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소개한다.

  • 장보러가는 날 - 원태웅
  • 옥화의 집 - 허철녕
  • 옥탑방열기 - 고유정 외 1명
  • 비념 - 임흥순
  • 반드시 크게 들을 것 2 : WILD DAYS - 백승화
  • 내가 누구인지 알려주세요 - 남경순
  • 그리고 싶은 것 - 권효
  • 간지들의 하루 - 이숙경

4. 3. 청소년경쟁

청소년들이 제작한 다큐멘터리를 통해 그들의 시각과 고민을 엿볼 수 있다. 공혜원의 즐거울 불편, 이주리의 이유 있는 열광, 하서영의 대한민국 1 미만, 유민아 외 3명의 나는 열아홉이고 싶다, 한동혁의 그 자퇴하는 학생은 어디로 가면 됩니까!, 유주윤의 고백 등이 상영되었다.

4. 4. 닥 얼라이언스

닥 얼라이언스는 제4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섹션이다. 이 섹션에서는 훌륭한 다큐멘터리 영화들을 소개한다. 상영작으로는 크리스티안 쇤데르비 옙센의 위대한 유산, 카르멘-로스만의 열심히 일하고 신나게 즐겨라, 에리크 보들레르의 아다치 마사오의 재구성이 있다.

4. 5. 글로벌 비전

글로벌 비전 섹션에서는 세계 각지의 다양한 사회 문제와 현상을 다룬 다큐멘터리들을 소개한다.

  • 올드르시흐 세들라체크 연대기/Olřich Sedláček Chroniclecs - 루돌프-스미트
  • 스탈린의 죽음의 길/Stalin Way of Death영어 - 시몬 슈피들라
  • 홍등가의 폭켄스 자매/Meet the Fokkensnl - 가브리엘 프로바스 외 1명
  • 헤드라인 - 뉴욕타임즈의 모든 것/Page One: Inside The New York Times영어 - 앤드류 로지
  • 평화가 찾아온 다음날/The Day After Peace영어 - 에레즈 로퍼 외 1명
  • 팔레스타인 점령의 적법성에 대한 보고서/The Law in These Parts영어 - 라아난 알렉산드로비치
  • 토브룩의 맹세/Le serment de Tobrouk프랑스어 - 베르나르 앙리 레비
  • 나의 저승길 이야기/Crulic - drumul spre dincoloro - 안카 다미안
  • 정의가 사라진 세상/900 dagennl - 이르세 반 베르젠 외 1명
  • 1마일 앞의 평화/Peace One Mile Ahead영어 - 페니 울콕
  • 인터럽터스/The Interrupters영어 - 스티브 제임스
  • 어느 혁명가의 죽음/La mort de ningúca - 알베르트 솔레
  • 암흑 속의 30년/30 Años de Oscuridades - 마누엘 H. 마르틴
  • 시네마 예닌/Cinema Jenin - Die Geschichte eines Traumsde - 마커스 베터
  • 상환 - 빚, 그리고 부의 이면/Payback영어 - 제니퍼 베이치월
  • 매춘의 그림자/Whores' Gloryde - 미카엘 글라보거
  • 마르세데스 벤츠와 레바논/Mercedes-Benz wal Libnanar - 하디 작카크
  • 로빈슨 주교의 두 가지 사랑/Love Free or Die영어 - 맥키 알스톤
  • 내 안의 나를 찾아서/Give Up Tomorrow영어 - 브로데릭 폭스

4. 6. 아시아의 시선

지진 그 너머는 시마모리 치카코가 감독한 다큐멘터리이다. 줄리아 바차 등이 감독한 나의 이웃이 상영되었다. 샨 주올롱의 황혼의 하드 록 II도 아시아의 시선 섹션에서 볼 수 있었다. 김민지 감독의 학교 가는 길도 포함되었다. 미리암 샨디 메나체리의 뭄바이의 쥐사냥꾼도 상영작 목록에 올랐다. 오티 위다사리 감독의 물 위를 걷는 용이 상영되었다. 판 지안 감독의 다음 생에도 너를 만나길도 이 섹션에서 상영되었다. 유최늘샘 감독의 남한기행 - 삶의 사람들이 소개되었다. 쿠 엥 요우 감독의 그림자 없는 세상도 상영되었다. 주현숙 감독의 가난뱅이의 역습이 아시아의 시선 섹션의 마지막 상영작이었다.

4. 7. 현장 속의 카메라



사회 운동, 분쟁 지역 등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담아낸 다큐멘터리를 소개한다.

  • 소녀이야기 - 김준기
  • 두 번째 계절 - 영
  • 대한문 투쟁 이야기 ver1.0 - 하샛별 외 3명
  • 하나의 국가, 두 개의 도시 - 장경위
  • 청춘유예 - 안창규
  • 이집트혁명 리포트 - 바삼 모르타다
  • 우리가 원하는 것 - 어속타파 외 1명
  • 센트럴파크를 점거하라 - 필립 가라
  • 사막으로 팔려간 아이들 - 빅 사린
  • 버스를 타라 - 김정근
  • 만약 나무가 쓰러지면: 지구 해방 전선 이야기 - 마샬 커리 외 1명

4. 8. 자연다큐멘터리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계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다큐멘터리들이 상영되었다.

존 머레이 감독의 전설의 호랑이 브로큰 테일, 데이빗 알렌 감독의 칠면조가 된 사나이, 조엘 히스 감독의 얼음의 땅, 깃털의 사람들, 박환성 감독의 순다르반스, 제프 올롭스키 감독의 빙하를 따라서, 저스틴 크럼 감독의 마인즈 인 더 워터, 강희진 감독의 할망바다, 케이티 마하릭 감독의 진공청소기를 사랑한 소년이 소개되었다.

4. 9. 다 함께 다큐를!

다 함께 다큐를! 부문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배경을 가진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사스키아 귀벨스의 엘렌의 귀를 통하여, 카롤리나 빌라라가의 미그로폴리스, 고티에 듀이옹 외 1명의 모기와 떠난 핀란드여행, 파비오 카라마스키의 투와레그 소년, 이탈리아에 가다, 루크 캐서디-도리언의 치어리더 챔피언 등이 상영되었다.

또한, 마틴 쉴트 외 1명의 요들을 노래하는 농부들, 얀 배스의 원반 던지기의 모든 것, 슈테판 무글리 외 1명의 옌트 박사의 제2의 인생, 데이빗 겔브의 스시 장인, 지로의 꿈, 폴 라코스테의 브라씨 부자의 맛있는 가업잇기, 브렛 윗컴의 레슬링쇼의 화려한 여인들, 오정훈의 나는 노래하고 싶어 등의 작품도 포함되었다.

4. 10. 아트링크

프랑스 다이어리는 레이몽 드파르동 등이 제작한 다큐멘터리이다. 푸른 바람의 노래는 송규학 감독의 작품이다. 집시 다비는 레이첼 레아 존스가 제작하였다. 우디 앨런: 우리가 몰랐던 이야기는 로버트 B. 웨이드 감독의 다큐멘터리이다. 아이 웨이웨이 - 난 멈추지 않는다는 앨리슨 클레이만의 작품이다.

아빠는 야한 영화를 만들었다는 조던 토도로프가 감독을 맡았다. 스타가 사랑한 예술가, 안톤 코르빈은 클라르트예 퀴레인스의 다큐멘터리이다. 세상 반대편에서 영화 만들기는 카를로스 클라인이 제작하였다. 마리아 아브라모비치와의 조우는 매튜 애커스 등이 제작한 다큐멘터리이다. 노먼 포스터-건축의 무게는 카를로스 카르카스 등이 감독을 맡았다. 너희가 랩을 아느냐는 아이스 티 등이 제작하였다.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회화는 코린나 벨츠의 작품이다.

4. 11. 폴란드 다큐멘터리 특별전

폴란드 다큐멘터리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특별 상영 부문이다. 이 섹션에서는 다양한 폴란드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상영된 작품으로는 피오트르 베르나시의 파파라치, 루카시 보로프스키의 3일간의 자유, 마르친 사우테르의 칼라브리아의 북쪽, 안제이 바이다의 바이다의 폴란드영화특강, 마치예 드리가스의 훼손된 편지들, 토마시 볼스키의 H2O, 아담 팔렌타의 심문, 야체크 페트리츠키의 폴란드 - 아래로부터의 역사, 마르셀 로진스키의 89mm의 차이와 남겨진 편지들, 율리아 포프와브스카의 참 좋은 세상, 마치예 추스케 외 2명이 제작한 안제이 바이다: 액션!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